효의황후 (발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의황후는 발해 문왕의 왕비로, 묘지석 발굴을 통해 존재가 알려졌다. 776년 문왕의 왕비가 사망했다는 《속일본기》 기록이 있으나, 이 인물이 효의황후인지는 불분명하다. 2004년~2005년 사이 룽터우산 고분군에서 발굴된 무덤 중 M12가 효의황후의 능으로 추정되며, 정혜공주와 정효공주의 어머니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중국 정부는 묘지석 등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해 문왕 - 대흥 (발해)
대흥은 발해 고왕 대조영 이후 713년부터 737년까지 사용된 연호로, 발해의 정치적 안정과 국제적 위상 강화, 당나라로부터의 공식적인 인정 및 그에 따른 간섭, 신라의 견제 속에서 발해의 독자적인 국가임을 천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 발해 문왕 - 정혜공주묘
정혜공주묘는 중국 지린성 둔화시 육정산 고분군에 위치한 발해 문왕의 둘째 딸 정혜공주의 무덤으로, 고구려 건축 양식을 계승한 돌방봉토무덤이며 묘비명을 통해 정혜공주가 정효공주의 언니임이 밝혀졌으나, 중국 정부의 소홀한 관리로 훼손되어 역사 왜곡에 대한 우려가 있다. - 8세기 한국 사람 - 연남산
연남산은 연개소문의 아들로, 639년에 태어나 701년에 사망했으며, 아들로 천광부를 두었다. - 8세기 한국 사람 - 김암
김암은 신라의 학자이자 관료, 군사 지도자로, 김유신의 후손이며 당나라 유학 후 음양학 연구와 저술, 여러 주의 태수 역임, 패강진두상 활동, 천문, 풍수지리, 군사 분야 업적, 일본 사신 파견 등의 활동을 했다.
| 효의황후 (발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작위 | 발해의 황후 |
| 배우자 | 문왕 |
| 시호 | 효의(孝懿) |
| 상세 정보 | |
| 재위 | 미상 |
| 전임자 | 없음 |
| 후임자 | 없음 |
| 자녀 | 없음 |
| 출생일 | 미상 |
| 사망일 | 미상 |
2. 생애
발해의 제3대 국왕인 문왕의 아내로, 묘지석이 발굴되어 그 존재가 처음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문왕의 딸인 정혜공주와 정효공주의 어머니인지는 알 수 없다.
일본의 역사서인 《속일본기》에는 776년 문왕의 왕비가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5] 하지만 기록 속의 왕비가 효의황후인지 또 다른 인물인지는 알 수 없다. 《속일본기》의 관련 기록은 다음과 같다.
2. 1. 왕비 책봉과 활동
발해의 제3대 국왕 문왕의 왕비로, 묘지석이 발굴되어 그 존재가 처음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문왕의 딸인 정혜공주와 정효공주의 어머니인지는 알 수 없다.일본의 역사서인 《속일본기》에는 776년 문왕의 왕비가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기록 속의 왕비가 효의황후인지 또 다른 인물인지는 알 수 없다.[5]
十二月乙巳、渤海國、遣獻可大夫、司賓少令、開國男史都蒙等一百八十七人、來賀即位、兼告國母薨去。方到我岸、卒逢暴風、破柁絕帆、漂沒死者衆焉。所存唯四十六人。即安置越前國加賀郡、給其賑恤。|12월 을사, 발해국이 헌가대부(獻可大夫) 사빈소령(司賓少令) 개국남(開國男) 사도몽(史都蒙) 등 187인을 보내어 우리 천황의 즉위를 치하하고 아울러 그 나라 왕비의 죽음을 알렸다. 우리 해안에 막 도착하려는데 갑자기 사나운 바람을 만나 키가 부러지고 돛이 떨어져 표류하다 죽은 자가 많았다. 살아남은 자는 겨우 46명뿐이었다. 곧 에치젠국(越前國) 가가군(加賀郡)에 안치하고 물건을 공급하였다.|《속일본기》 권 34, 고닌 천황(光仁天皇) 호키(寶龜) 7년(776년) 12월 22일 (을사)일본어
2. 2. 정혜공주와 정효공주의 어머니 여부
효의황후는 발해의 제3대 국왕 문왕의 아내로, 묘지석이 발굴되어 그 존재가 처음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문왕의 딸인 정혜공주와 정효공주의 어머니인지는 알 수 없다.일본의 역사서인 《속일본기》에는 776년 문왕의 왕비가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기록 속의 왕비가 효의황후인지 또 다른 인물인지는 알 수 없다.[5]
2. 3. 《속일본기》 기록
《속일본기》에는 호키 7년(776년) 12월 22일에 문왕의 왕비가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5] 그러나 이 기록 속 왕비가 효의황후인지, 아니면 또 다른 인물인지는 확실하지 않다.《속일본기》의 해당 기록은 다음과 같다.
3. 무덤 발굴
2004년~2005년 사이 지린성 허룽시 룽터우산 고분군에서 발해 시대 무덤 14기가 발굴되었다. 중국 정부는 이 중 M12 무덤을 효의황후의 능이라고 밝혔다. 무덤은 대형 돌방무덤 형태이다. 이 근처에서는 1949년 9월 정혜공주묘가, 1980년 10월에는 정효공주묘가 발굴되었다. 정혜공주와 정효공주는 문왕의 딸들이지만, 효의황후와의 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 정부는 묘지석 등 관련 유물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는 효의황후가 문왕의 황후이며 시호가 '효의(孝懿)'라는 것 외에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3]
3. 1. 룽터우산 고분군 발굴
2004년~2005년 사이 지린성 허룽시 룽터우산 고분군에서 발해 시대의 무덤 14기가 발굴되었다. 중국 정부는 룽터우산 고분군에서 발굴된 14기 중 M12와 M3으로 명명한 두 기의 무덤이 각각 효의황후와 간왕의 황후인 순목황후의 능이라고 밝혔다. 무덤은 대형 돌방무덤의 형태이다. 이 근방에서는 1949년 9월 정혜공주묘가 발굴되었고 1980년 10월에는 정효공주묘가 발굴되었다. 정혜공주와 정효공주는 각각 문왕의 둘째 딸과 넷째 딸이며, 이들이 효의황후의 자녀인지는 알 수 없다.중국 정부는 현재까지 묘지석을 비롯하여 관련 유물이나 비문의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는 2009년 학술지 〈고고(考古)〉에서 순목황후가 건흥 12년(830년)에 사망했고, 성이 태씨(泰氏)라고 밝힌 것과 달리, 효의황후에 관해서는 문왕의 황후이며 시호가 '효의(孝懿)'라는 것 외에는 어떠한 정보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3]
3. 2. 무덤의 형태
지린성 허룽시 룽터우산 고분군에서 2004년~2005년 사이 발해 시대의 무덤 14기가 발굴되었다. 중국 정부는 룽터우산 고분군에서 발굴된 14기 중 M12와 M3으로 명명한 두 기의 무덤이 각각 효의황후와 간왕의 황후인 순목황후의 능이라고 밝혔다. 무덤은 대형 돌방무덤의 형태이다.[3] 이 근방에서는 1949년 9월 정혜공주묘가, 1980년 10월에는 정효공주묘가 발굴되었다. 정혜공주와 정효공주는 각각 문왕의 둘째 딸과 넷째 딸이며, 이들이 효의황후의 자녀인지는 알 수 없다.[3]3. 3. 정혜공주묘와 정효공주묘와의 관계
지린성 허룽시 룽터우산 고분군에서 1949년 9월 정혜공주묘가 발굴되었고, 1980년 10월에는 정효공주묘가 발굴되었다. 정혜공주와 정효공주는 각각 문왕의 둘째 딸과 넷째 딸이지만, 이들이 효의황후의 자녀인지는 알 수 없다.[3] 2004년~2005년 사이 룽터우산 고분군에서 발해 시대 무덤 14기가 추가로 발굴되었는데, 중국 정부는 이 중 M12와 M3으로 명명한 두 기의 무덤이 각각 효의황후와 간왕의 황후인 순목황후의 능이라고 밝혔다.[3]3. 4. 중국 정부의 정보 비공개
중국 정부는 현재까지 묘지석을 비롯하여 관련 유물이나 비문의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는 2009년 학술지 〈고고(考古)〉에서 간왕의 황후인 순목황후가 건흥 12년(830년)에 사망했고, 성이 태씨(泰氏)라고 밝힌 것과 달리, 효의황후에 관해서는 문왕의 황후이며 시호가 '효의(孝懿)'라는 것 외에는 어떠한 정보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3]참조
[1]
웹사이트
발해 효의황후(孝懿皇后), 순목황후(顺穆皇后) 묘가 발굴되었다
https://www.bostonko[...]
2022-06-15
[2]
웹사이트
중국 지린성서 발해 황후 무덤 발굴
https://www.khan.co.[...]
2022-06-15
[3]
뉴스
중국 지린성서 발해 황후 묘지 발굴
http://news.naver.co[...]
[4]
뉴스
‘발해는 고구려 계승한 황제국’ 증거유물 나와
http://www.munhwa.co[...]
[5]
문서
발해에서 외국 사신들의 접대를 담당하는 기관인 사빈시의 차관격인 소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